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2024년 기준중위소득 계산하기 | 기준중위소득 150% 계산표

by 쀼쀼네 2024. 1. 4.
반응형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이나 다양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준중위소득이라는 것을 계산해야 합니다 오늘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를 순서대로 줄세웠을 때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통계청에서는 매년 가계통향조사를 토대로 전년도 중위소득 수치에 과거 평균 증가율을 적용하여 중위소득금액을 결정합니다. 

 

2015년 7월부터 중위소득을 이용하여 정부 복지정책 대상자를 선정하고 있기 때문에, 중위소득은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급여를 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4년도 기준중위소득

반응형

 

기준중위소득은 매해 변하기 때문에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은 가구원의 수에 따라 달리 책정됩니다.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기준중위소득 23년 207만
7,892원
345만
6,155원
443만
4,816원
540만
964원
633만
688원
722만
7,981원
24년 222만
8,445원
368만
2,609원
471만
4,657원
572만
9,913원
669만
5,735원
761만
8,369원

 

 

2024년도 기준중위소득은 위의 표와 같습니다. 2024년에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기준중위소득이 인상되었습니다. 이 금액에서 만약 기준중위소득 150%를 계산하고자 하신다면 금액 * 150%를 해 주시면 됩니다. 중위소득을 빠르고 편리하게 계산하시려며 아래의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자신의 중위소득을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급여지원 소득기준

중위소득은 정부 지원의 기준이 되는 금액이기 때문에 나의 중위소득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잘 알고계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위소득 100%의 의미는 국민이 버는 평균적인 소득이기도 하면서 국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중위소득보다 만약 낮은 금액을 버는 가정이라면 소득수준을 고려하여 주거급여나 의료급여, 생계급여, 교육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생계급여: 중위소득의 32% 이하
의료급여: 중위소득의 40% 이하
주거급여: 중위소득의 48% 이하
교육급여: 중위소득의 50% 이하

 

 

 


 

 

오늘은 정부지원의 기초가 되는 중위소득 계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나의 소득은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를 계산하셔서 각종 지원금 혜택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겨울방학 대학생 아르바이트 | 선발인원 신청방법 신청기간 총정리

연말정산 의료비 세액공제대상액 | 실손의료보험금 제외

의료비 세액공제 | 의료비 소득공제 | 의료비 몰아주기

 

반응형

댓글